후지타 쇼조藤田省三(1927-2003), ⟪천황제 국가의 지배원리⟫(天皇制国家の支配原理, みすず書房, 2011)
❧ 작성 경위(이이다 다이조飯田泰三)
“천황제란 무엇인가”(天皇制とは何か)는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가 ⟪정치학사전⟫에 집필하기로 되어 있던 ‘천황제’ 항목을 후지타 쇼조가 대신 쓴 것(1953), 이것을 출발점으로 삼아 전개한 논문인 “천황제 국가의 지배원리”(天皇制国家の支配原理)는 ⟪호가쿠시린(法學志林)⟫(54권 1·2합병호, 1956)에 최초 게재.
❧ ‘천황제’의 의미와 연구 방법
“천황제는 어떤 경우에는 1)단순히 군주로서의 천황이 존재하는 것만을 의미하지만 2)더 엄밀하게는 [메이지 유신 이후] 근대 일본의 정치구조, 체제(regime)를 의미하는 것으로도 사용된다. 그러나 그 경우에도 지배 ‘기구’機構에 주목하여 천황에게 모든 정치권력이 집중되고 천황 직속의 문무관료가 권력 행사를 장악하는 지배체제를 가리키거니와, 그에따라 의회에 대한 천황제 관료의 독자성이 천황제의 가장 큰 특색으로 간주되기도 하며, 정치적 ‘기능’에 주목하여 천황제 체제에 내재하는 여러 원리들이 어떤 통로를 거쳐 사회적 저변과 지배자 사이를 오고가는지를 고찰하는 경우도 있다. 3)또한 그 말을 ‘일종의’ 비유로 적용하여, 특정한 사회적 현상이 천황제 지배양식이 갖는 특정한 성격을 가질 경우 그 특징에 비추어 그 현상이 ‘천황제’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된다. 크게 나누어 이 세 가지 정의 어느 것이나 근대 일본의 지배체제인 천황제의 특질에서 생겨난 것이므로, 이들 셋이 복잡하게 얽힌 것을 풀어서 천황제를 전체적으로 이해하려면, 한편으로는 절대주의 천황제 성립의 역사적 특질, 다른 한편으로는 천황제 체제 지배양식의 특수성을 발견하여야 한다.”
❧ 야스마루 요시오의 규정
- “전후 일본도 여전히 국제사적國制史的으로는 천황제 국가”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천황제는 압도적으로 많은 일본인에 의해 수용되고 지지받고 있다. “현대 천황제는... 현대 일본에 적응하는 변형된 천황제이며, 그것이 바로 압도적 다수의 일본인에게 수용되고 있는 상징천황제일 것이다.”
- “이 책은... 근대국민국가의 편성 원리라는 측면에 중점을 두고 논한 것이다. 근대 세계는 여러 국민국가가 서로 겨루는 경기장으로서 존재하며, 국민국가들은 이 경기장에서 승리하기 위해 제각기 독자적인 편성 원리를 만들어 내는 것인데, 일본의 경우 그것이 천황제있다고 보는 것이 이 책의 입장이다. 근대 일본의 질서원리의 형성과 구조, 그리고 그 이데올로기적인 성격의 규명에 주안을 두었기 때문에 그 밖의 여러 측면에 관해서는 관련이 있는 한에서 간단하게 언급하는 데 그치고 있다.”
* 참고할 책들
- 야스마루 요시오, ⟪근대 천황상의 형성⟫
- 노마 필드, ⟪죽어가는 천황의 나라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