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지타 쇼조藤田省三(1927-2003), ⟪천황제 국가의 지배원리⟫(天皇制国家の支配原理, みすず書房, 2011)
1. 작동 구조(1)
❧ 서구 파시즘과 일본 파시즘
- 서구 파시즘: 격렬한 ‘변혁’. 민주주의 일반에 대한 자기 부정의 충동에서 자기의 정치적 현실주의(realism)를 무기로 대중을 선동하고 자주적 결사를 타도하고, 자기의 정치권력을 획득. 국제적으로는 세계의 부정을 시도하는 공격적 허무주의(nihilism)로서의 나치즘
- 일본 파시즘: 점차적인 총력전 국가로의 이행. 기존의 국가기구 특히 군부 일부에 의존. 파시스트들은 천황 앞의 경건한 신하. 국제적으로는 나치즘의 추종자(follower). 반동화로 불리는 과정에서도 역사적 연속을 차단할 수 있는 주체적 행동성 결여. 두드러진 ‘왜소함’
❧ 우익 급진 파시즘 운동의 몇 가지 유형
- 유럽 근대 국가: 물질적 생활양식이 아닌 언어와 관념 속에서만 존재. 거대화된 도시와 기계, 사회의 기구화에 대비하여 개인의 내면, 사생활에서의 자유, 조국에 대한 사인私人의 감정 통제 불가능 . 기계화로 인한 전망에서 비관주의(pessimism)가 발생하며 이는 이성 일반에 대한 비관주의로 귀결되어 비합리적 정신의 고양이 시작
- 메이지 이래 일본: 국가는 ‘일촌일가一村一家’의 연장이며 가와 촌에서의 전인격적인 심정적 결합이 곧바로 공적인 국가질서의 지주로 간주. 기계화에 대한 반발의 담지자(Träger)는 개인이 아닌 ‘일촌일가’의 향토와 그 심정
- 향토주의의 등장, 이노우에 닛쇼井上日召 일파, 법치주의 형식 부정관否定観, 계획주의
- “우익운동의 에너지가 ‘경세제驚世剤’ 밖에 안 되었던 이유는, 여기에 있다.”
❧ 향토주의의 파생물들
다치바나 고자부로의 애향숙愛郷塾과 같은 ‘이상부락 건설운동’, 추상적 이론의 배제, 독일에서의 생철학生哲學(Lebensphilosophie)과 비슷한 기능
- ‘참된 농민’. 추상화된 관념의 세계를 거부하므로 직접적 감각적 체험을 넘어선 세계는 이해되지 않으며 향토를 넘어선 보편적인 것으로 나아갈 수 없다(공동체 국가).
* 참고할 책
- 마루야마 마사오, ⟪현대정치의 사상과 행동⟫(丸山眞男, 現代政治の思想と行動) 특히 ‘제1부 현대 일본정치의 정신상황’(現代日本政治の精神状況)의 ‘제1장 초국가주의의 논리와 심리’(超国家主義の論理と心理), ‘제2장 일본파시즘의 사상과 운동’(日本ファシズムの思想と運動), ‘제3장 군국지배자의 정신형태’(軍国支配者の精神形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