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이민자의 나라 미국 (1) 한성대학교 권은혜 박사 / 역사 속 '논란의 올림픽'들 - MBC라디오 김무녕PD
최근 미국에서 아시아인을 향한 혐오 범죄가 급증해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이민자의 나라'라는 미국에서 인종 혐오 범죄가 끊이지 않는 이유가 뭘까요? 미국 이민의 역사를 살펴보면 그 답을 조금은 찾을 수 있을까요? 오는 7월 개막이 예정된 도쿄 올림픽. 그러나 여전히 개최 여부를 두고 논란이 되고 있죠. MBC라디오국의 스포츠박사 김무녕PD가 역사 속 '논란의 올림픽'에 대해 이야기해 드립니다.
6/6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왜?(2) -서강대 성일광 교수 / 노벨평화상의 역사(2) -시사인 김동인 기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하마스가 휴전을 선언한 이후 발표된 현지 여론조사 결과가 흥미롭습니다. 휴전이 3년 이상 지속될 것이라는 의견이 겨우 9퍼센트에 불과했던 겁니다. 반면 1년을 넘기지 못할 거란 사람은 43 퍼센트나 됐죠. 갈등이 정상이 돼버린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불안한 동거.. 과연 언제 어떤 이유로 시작된 걸까요? 타박타박 세계사, 에서는 던지는 질문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왜?’입니다. - 서강대학교 유로메나 문명연구소 성일광 교수 에서는 노벨 평화상 수상자들의 일탈과 배신의 사례들을 들여다보겠습니다. - 시사인 김동인 기자
5/30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왜? (1) 서강대 성일광 교수 / 노벨평화상의 역사(1) 시사인 김동인 기자
05/23 인도는 왜? (2) - 한국외대 박금표 교수 / 버블의 역사 - MBC 양효걸 기자
코로나19로 극심한 고통을 겪고 있는 인도. 사실 인도는 식민지배와 분단의 역사라는, 우리와 유사한 역사를 갖고 있는데요. 인도의 근현대사에서 우리와 인도는 어떤 관계를 맺어왔는지 살펴봅니다. 가상화폐 열풍은 일시적인 버블일까요, 새로운 시대의 시작일까요? 역사 속 '버블 현상'들을 훑어보며 요즘의 상황과 비교해 봅니다.
5/16 인도는 왜? (1) - 한국외대 박금표 교수 / 화폐의 역사 - MBC 양효걸 기자
인도의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합니다. 인도의 문화적, 역사적 특수성이 그 원인일 거란 이야기가 나오는데요. 과연 어떤 배경이 있는지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박금표 교수님께 들어봅니다. 가상화폐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화폐의 등장과 변화의 역사 속에서, 가상화폐의 등장이 갖는 의미를 살펴봅니다.